1. OKR의 기본원칙은 무엇일까?
목표 : 질적인 측면
핵심결과지표 : 양적인 측면
☆ OKR의 기본원칙 (Objective(목표))
1) 한분기 동안 하나의 목표 설정
2) 단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
3) 시간 제한을 둔 목표 달성
---------------------------------------------------------------
한달 혹은 한 분기 내에 달성가능할 때 전력질주 가능 => 장기적인 목표는 전략이자 사명이다.
☆ 목표(Good Objective)의 예
Good
- 훌륭한 최소기능제품(MVP)를 출시하자
- 다음분기를 끝장낼 거래를 체결하자
Bad
- 판매실적 30% 증가
- 사용자수 2배 증가
=============== >이런 목표는 왜 나쁠까? 사실 결과 지표이기 떄문
☆ OKR의 기본원칙 (Key Results(핵심결과지표))
1) 구체적인 수치 표현
- 성장, 참여도, 수익, 성과 등 측정가능한 요소
2) 도전적인 조건 설정
- 성공과 실패할 확률 모두 50%
☆ 핵심결과지표(Key Results)의 나쁜 예
Bad
- 이건 도저히 불가능해
- 좀 열심히 하면 할 수 있겠네
=> 너무 과도하게 쉽거나 어려움
2. OKR의 성공방법은 무엇일까?
" OKR 은 회사/팀/개인의 OKR 이어야 한다.
회사의 OKR -> 팀의 OKR -> 개인 OKR
ex)) 만일 회사의 OKR 이 '영업확장'이라면
제품관리자의 OKR 은
목표 : 뛰어난 판매 실적을 올리는 것
핵심결과 지표 : 영업 교육을 훌륭한 성적을 이수하고 자신이 맡은 상품의 전환율을 올리는 것
OKR의 효율성 향상과 함께 조직 내 자신의 역할 탐색 및 문제 개선 도움
자신의 문제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OKR 을 설정하도록!!!
"OKR은 늘 규칙적인 리듬으로 실행, 점검해야 한다. "
- 주간 팀 회의, 주간 현황 보고 이메일에 포함
-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점검 및 조정
- 목표 달성 중간에 변경 금지
=> OKR의 목표에 계속 집중하고 각성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임!
☆ OKR 성공의 4가지 키워드
집중(Focus) - 중요한 것을 선택하여 자원을 몰두하는 일(가장 중요한 일에 모든 힘을 집중하는 것이 좋음)
정렬(Alignment) - 여러 개의 요소를 잘 정렬하여 정합을 택하는 일 ( 부정합 상황 발생 시 요소간 낭비 발생)
추적(Tracking) - 시작/중간/끝의 과정 상의 상황을 추적하는 일(장애물을 피하고 목적점 도달 용이)
도전(Stretching) - 현재 상태에서 더 높은 목표에 도전하는 일(새로운 일에 도전과 그에 대한 안전망 마련이 필요)
☆ OKR은 목표관리방법 중 하나인데 ,,,, 그중 차이는 공격형 목표관리방법 이라는 것이다.
- 창의성을 발휘하여 새로운 목표를 성취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
☆ OKR의 장점
- 성공확률은 50%이지만 목표를 달성하면 큰 성과 획득
- 80%만 달성해도 큰 성과이다.
-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
- 업무 진행상황 및 타 부서와의 이해관계 파악을 통한 협업 용이
▷ My review
OKR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결국 모든 직원이 같은 회사의 목표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일할 수 있어야 한다. 소위 모두가 내 회사처럼 일할 때 성공할 수 있다고 보는 것 같다. 습관의 중요성을 이전에 언급한 것처럼 늘 규칙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두가 같은 목표의식을 가지고 나아간다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일텐데~~~~
결국 이러한 목표의식은 나라에 상관없이 회사의 규모에 상관없이 필요한 가 보다...
(강의 : Hunet)
'북러닝(회사에서 살아남기) >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이론+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OKR 설정 프로세스 (0) | 2021.08.24 |
---|---|
2. OKR의 구조와 실행방법 (0) | 2021.08.22 |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이론+실천)_1. OKR이란 무엇인가? (0) | 2021.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