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KR의 목표와 업무계획은 어떻게 문서화하고 실천해야 할까?
OKR의 목표는 1가지만 세워야 한다.
목표가 그보다 많다면 집중할수 없고 주간 점검도 효율적일 수 없다.
중간 중간 주단위로 점검해줘야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인 애자일(Agile)방법같은 짧은 회의여야 한다.
짧은 회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툴은 다음과 같다.
주간계획 회의 (효율적인 실시 및 점검을 위한 툴) | |
이번 주에 해야 할 중요한 3~5가지 (OKR 목표를 달성시킬 일들) |
목표 핵심결과지표 (달성가능성 50%) ex)획득, 유지율, 수익 |
'알림' 다음 달 예상되는 중요한 일들 (4주 내 주요 활동) |
목표 실행 동안 지켜야 하는 항목 es)고객만족, 팀 건전상 |
☆ OKR 의 프로세스
목표 달성을 위해 지켜야 할 항목 확인 => 주/월 단위의 계속적인 자기점검 -----> 지속성/정밀함이 필요한 작업
2. CEO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5가지 이유
1) 목표 들의 '우선순위' 미선정
- 모든 것이 중요하다면 아무것도 중요한 게 아니다
- 목표의 우선순위를 정하지 않으면 결국 집중할 수 없고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 최우선 순위를 두는 목표를 명확히 선정하는 것이 OKR의 출발점
2) 철저하고 집요한 '소통' 미실시
- 링크드 인 CEO인 제프 와이너는
"당신이 그 말을 하기가 지겨워질 즈음이면 사람들이 그 말을 듣기 시작할 겁니다" 라고 말했다.
- 소통의 흐름은 늘 파동이 커야 한다. 잘 흘러서 통해야 한다~!!!!
- 매일 목표만 상기시키는 것이 아니라 조직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매일 상기시키고, 목표에 비추어 평가되어야 한다.
3) 일을 완수하기 위한 계획이 없었기 떄문
- 일에 대한 의지는 있어도.. 일 자체가 미루어질 떄가 많음.
- 일을 완수하기 위한 '계획' 미수립
-일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위해서는 일을 하는 이유, 절차.... 구체적인 절차가 있어야 한다.
4) 중요한 것을 위한 '시간' 할애 부족
- 중요하든, 중요하지 않던 급한 일들은 결국 완수됨
- 그래서 OKR 로 중요한 일을 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차단하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 마감시간을 정해두고, 시간 차단을 통해 목표에 전념한다. .
5) '재도전'하지 않고 포기하는 것
쉬운 목표 -> 핵심결과지표 쉽게 달성 -> 도전적인 목표를 경험X
과도한 목표 -> 실행력 저하 -> 자신을 속이는 행위 반복
=> 어떤 경우든지 회사는 후속조치를 하지 않아 목표와 핵심 결과지표를 이루지 못한다.
성공을 하는 회사들은 재도전을 통한 실패로부터의 학습이 있다
3. OKR 성공을 위한 선행작업
"회사의 사명(Mission) 만들기"
우리는 (가치제안)으로 (시장)에서 (고통을 줄인다/삶을 개선한다) => 5년간 유지(OKR을 위한 방향키
OKR은 사명의 목표이자 핵심 결과 지표가 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 My Review
CEO가 목표에 달성하지 못하는 이유를 보니, 개인이 자기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이유와 비슷한것 같다.
급한 일들은 어떻게든 마무리 되지만 정작 중요한 일이 남아 있는... 매일 매일이 우선순위와의 싸움이 아닌가 싶다.
우선순위의 문제도 그렇고, 과도한 목표와 쉬운 목표가 아닌 적절한(?) 목표는 입시를 준비했을 때부터 그 중요성을 많이 듣고 자랐던 것 같다.
결국 OKR 성공을 위해서 회사의 MISSION을 설정하듯이
개인의 성공을 위해서도 개인의 MISSION 설정이 필요한 것 같다.
나의 방향키 설정.... 다시금 확인이 필요한 시점이다.
(강의 : Hunet)
'북러닝(회사에서 살아남기) >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이론+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OKR 설정 프로세스 (0) | 2021.08.24 |
---|---|
3. OKR의 기본원칙과 성공요소 (0) | 2021.08.22 |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이론+실천)_1. OKR이란 무엇인가? (0) | 2021.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