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러닝(회사에서 살아남기)/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이론+실천)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이론+실천)_1. OKR이란 무엇인가?

출처 : 네이버 책

★ 이 강의(책)를 듣게 된 이유는?

  구글은 누구나 잘 아는 세계적인 기업인데, 그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이 궁금했다. 

  책을 통해서 구글의 경영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다면 좋지 않을까?

 

1. Objective 목표  KeyResults 핵심 결과 지표

OKR MBO성과관리시스템이 여러 회사를 통해 진화한 것이다.  

 

 1) MBO - Management by Objectives (목표관리)

  1954년에 제안한 경영기법으로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가  제안했다.

  상사와 부하가 공동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가 달성된 정도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시스템

 

  2) 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결과지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요소들에 관한 결과지표

 

OKR은 목표와 결과지표를 합쳐 목표를 설정하고 그 결과를 측정할 수있도록 도와주는 목표 설정 프레임워크

 

2. 크리스티나 워드케(지은이)가 말하는 OKR의 근간

 1) 영감을 주고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세워라

 2) 바라는 최종 상태를 향해 언제나 당신과 당신의 팀이 진보하게 하라

 3) 공동책임을 팀 전체가 확실히 기억하도록 정기적인 점검시간을 만들어라

 

O : 실행하고 싶은 일

KR : 목표달성여부를 알 수 있는 척도

---------------------------------------------------------------------------------

OKR은 하나의 비전으로 회사 전체를 통합하여 연간 또는 분기별로 수립함. 

 

3. '습관'의 중요성

습관은 자동화된 행동으로 크리스티나 워드케는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조직 내에서 업무습관으로 작동하도록~

습관을 규칙적인 리듬으로 표현하였는데

한주의 시작(월)은 팀원이 함께 우선순위 설정하고

한주의 마무리(금)는 함께 성과를 축하한다. 

 

OKR의 기업 및 업무습관화가 가장 중요한 시작이다. 

OKR 책 구성 중 이론편1에서는 벤처기업 CEO의 시각으로 살펴본 OKR 이 설명된다. 

 - OKR의 필요성

 - OKR의 작동원리

 

 OKR은 구글같은 큰 회사에도, 벤처기업과 같은 작은 회사에도,,,

 모든 규모의 기업에 적용가능한 목표설정 프레임워크임을 강조한다. 

 

이론편1의 소설에서 나오는 투자가 짐의 조언이다. 

 

 "OKR은 목표 및 핵심 결과지표를 뜻하는 말이라네(중략)

  분기마다 대범하고 수준 높은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했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양적인 결과지표를 세가지 정하는 거지

  자네들의 회사에 걸맞은 훌륭한 목표 한가지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OKR은 어려운 목표여야 하네

  성공확률이 50대50정도인 것 말일세

  팀전체가 스스로 몰아붙이도록 만드는 거지"

 

OKR의 중요한 목표는 구성원들의 도전 의식 강화하는 것

 

▷My review

 OKR이란  팀에서 함께 풀어나가야 하는 현재보다 높은 성과의 문제! 

 풀어나갈 수 있다면 정말 BEST이지만, 만약 풀지 못한다면.... 누군가 책임을 몰빵당하는 건 아닐까?

 이런 부분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궁금해진다. 

 어쨌든 현재보다 나아지는 모습이 있기 위해서는 현실에 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도전! 해야 한다는 건 개인이든 기업이든 마찬가지 인듯하다.

  

(강의 : Hu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