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때는 김광석의 <서른즈음에> 란 노래를 들으며, 30대는 모든 것을 이루고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도 다 알고~ 어른으로서 잘 살아갈 수 있는 나이인 줄 알았다. 하지만, 여전히 삶은 어렵고, 어떻게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고민이 된다.
부자라고 하면 스쿠루지와 같이 있는 돈도 쓰지 않고 인색하며 다른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존재인 것 처럼만 느껴졌었는데, 선한 영향력을 전파하는 부자들을 유투브에서 만나고, 강연에서 만나면서 나의 시야도 달라지는 것을 느낀다.
나의 나이는 청년은 아니지만, 여전히 배워야 할 게 많은 한명으로써 "김승호 회장님"의 돈의 속성 강의를 듣게 되었다. 김승호 회장님은 사업을 7번 망하고 '연어롤'을 만들어서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을 시작으로 유럽, 호주, 미국 등 전 세계 11개국에서 수많은 매장을 운영중이신 대단한 분이다~!
마중물
청년들이 자꾸 실수 하는 것이 있다. 지금 당장은 일단 놀자. 젊어서 놀지 늙어지면 못 노나니.... 하지만.
좀 유보하고 노는 게 맞다. 내가 이세상에서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을지, 나 혼자 스스로 존재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증명해야 한다. 그런다음에 좋아하는 것을 해도 늦지 않다.
존재하는 것을 증명하기까지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
부자는 행복할까?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돈 걱정에서 자유로워지고 싶다.'란 생각들을 많이들 한다. 그리고 보통은
돈을 많이 벌면 부자가 되는 줄 안다. 하지만, 부자거지도 많다.
우리가 오해하는 부분들이 있는데, 돈을 버는 능력, 모으는 능력, 쓰는 능력,,,, 각기 다 다른 능력이다.
돈을 많이 번다고 실제로 바로 행복하지 않다.
가족관계, 재정, 이상과 미래에 대한 고민들...
돈이 얼마 있으면 해결 될 수 있을까?
돈이 있다고 바로 행복한 것을 아니지만, 우리가 안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돈이 해결해주고 있다.
돈은 중력과 같다.
무게가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다른 돈을 끌어들이고, 무게감이 큰수록 끌어들이는 게 다르다
1억을 모으기 위해 노력한게 100, 두번째 1억에 100
통상적으로 ....이것을 숫자로 계산하면... 1,2,3,4,5,6,..
하지만...
1,2,4,8,... 순식간에 10
돈과 중력은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사업도 그렇다~ 처음에 300개는 몇년 걸렸지만 그 다음 매장 300개는 순식간에 일어난 것 처럼 어느기간에 일어났는지 가늠이 잘 안된다.
돈은 인격체다.
돈이 인격체라고 생각하고 접근하면, 돈을 보는 시각이 달라진다. 돈은 감정을 가지고 생각을 가진다.
자기가 좋아하는데가 있고, 싫어하는 것도 있다. 돈은 몰려 다닌다. 그래서, 작은 돈을 함부로 낭비하면 큰돈을 모을 수 없다.
돈을 아무데다 함부로 쓰면.... 돈은 감정을 가졌기 때문에.... 돈이 당신을 떠날꺼다. 자신을 하찮게 대하는 사람들과 돈이 함께하지 않고 떠난다.
규칙적으로 들어오는 돈은 힘이 세다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은 불규칙한 돈보다 힘이 세다. 일정하게 들어오는 것 자체가 어마어마한 것이다.
CASH FLOW
비가 꾸준히 내릴 땐 1년내내 안오다 한번에 오면 홍수가 된다.
일당으로 돈 많이 버시는 분
돈을 못본다..... 구조적으로.....
실제로 그런 사람들은 일정하게 돈이 들어오지 않아 모으기 어렵다.
매장 수입이 매일 골고루 있는 것이 의미가 있지, 주말에 한꺼번에 오르는 건 의미가 없다.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은 조직화된 돈으로 아무 무섭고 중요한 돈이다.
고생해서 들어온 돈은 그냥 들어온 돈 보다 힘이 세다~!!!
내가 번 돈의 가치의 무게가 100kg이라면 누가 준것은 1kg이다. 그냥 흩어져 버린다 유산, 땅값..... 과 같은 돈은 내가 번돈의 가치와, 꾸준히 모은 돈과 전혀 다른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한사람의 성공은 이면에 다른 사람의 슬픔과 불행을 바닥에 깔고 있다.
그래서, 이런 것을 잘 지키지 않는다면...가시를 잘 다독이지 않으면 돈이 모였다가 다시 흩어진다.
경험 vs 소비수준
경험에 돈을 쓰는 것은 좋다. 이 경험이 나를 더 고양시킬 수 있는가!!!
소비수준이란 것은 나에게 필요한 것인가.. 욕구인가...특히 자산이 모아지기 전까진 이 부분에 대한 것을 고민해야 한다.
한달에 수입 200만원이 필요하다면, 일하지 않아도 200만원이 나오는 어떤 구조가 될때까지 멈추면 안된다. 200만원 필요한 사람이 일하지 않아도 200만원이 나온다면 돈을 벌 필요가 없다.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안된다.
악착같이 모아야 한다.
돈의 속성을 알고 실천하면 반드시 자본주의 사회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인드 공부 > 성공한 리더들의 방법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위1% 부자들이 반드시 지키는 한가지 습관_켈리최 (0) | 2021.10.02 |
---|---|
(부의습관6)내가 성공을 위해 버렸던 습관 3가지(켈리최) (0) | 2021.10.02 |
(부의습관5)돈과 인맥 없이도 상위 1%부자들에게 배울 수 있던 이유 (0) | 2021.10.02 |
끌어당김의 법칙 오해와 진실 4가지_켈리최 (0) | 2021.10.02 |
끌어당김의 법칙_시크릿 실천법 (0) | 2021.10.02 |